Trickle에서 AI 인터랙티브 영상을 만드는 방법

k.png


인터랙티브 숏드라마(또는 분기형 마이크로 필름)는 영화적인 움직임과 선택의 순간을 결합하기 때문에 강력한 몰입감을 줍니다.


Trickle Magic Canvas에서는 최신 모델을 활용해 영상 에셋을 생성하고, 자연어(vibe coding)로 분기 로직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내러티브 구조, 흐름(페이싱), 그리고 프롬프트 설계를 사전에 고려하는 것입니다.


아래에서는 먼저 분기형 내러티브를 어떻게 설계할지, 프롬프트 템플릿과 스타일 일관성을 어떻게 유지할지 설명합니다. 그 후 Trickle 안에서 영상을 생성하고,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며, Magic Canvas에서 로직을 연결하고, 프리로딩과 테스트까지 진행하는 단계별 과정을 보여드립니다. 마지막에는 내러티브 및 기술적 관점에서 이 접근법의 의의를 정리합니다.


파트 I: 내러티브와 분기 로직 (프롬프트 작성 전)

프롬프트를 쓰기 전에, 미니 드라마를 트리 구조로 생각해 보세요:

  • 루트 노드 (오프닝)
  • 시청자가 A 또는 B를 선택하는 분기점
  • 결말로 이어지는 리프 노드
  • 이야기 중간에 이어질 수 있는 추가 노드

1. 극적 긴장과 명확한 선택에서 시작하기

오프닝에서는 세계관, 미스터리, 위협 같은 시각적 긴장 요소를 제시하고, 두 가지 현실적이면서도 상반되는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시청자는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할까”라는 강한 동기를 가져야 합니다.

예: 오프닝은 외계 행성, 착륙하는 우주선, 불가사의한 분위기를 설정합니다. 두 가지 선택지는 신호로 향하기 혹은 주변을 계속 탐사하기입니다. 이는 탐험 vs 신중함을 상징합니다.

2. 분기 깊이를 얕게 유지하기

분기가 너무 깊으면 생성해야 할 장면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일관성과 사용자 경험을 해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패턴은:

  • Opening → 두 갈래 (A / B)
  • 각 갈래 → 두 가지 결말 (A1 / A2, B1 / B2)

총합은 1 + 2 + 4 = 7개의 클립으로, 프리로딩과 내러티브 일관성 면에서 관리하기 쉽습니다.

3. 분기 간 시각적 일관성 유지하기

장면이 분리되어 보이지 않도록, 색 보정, 조명 팔레트, 먼지 낀 분위기, 동일한 행성, 동일한 주인공 실루엣 같은 요소를 모든 장면에 유지하세요.

카메라 스타일도 일관되게 유지해야 합니다 (예: 느린 푸시, 트래킹, 느린 줌인 등).

4. 모듈형 프롬프트와 템플릿 사용하기

각 장면마다 전혀 새로운 프롬프트를 작성하기보다, 템플릿을 사용해 효율을 높입니다.

  • 장면 서술 템플릿
[길이] 초의 무성 영화풍 장면. 주인공: [인물]. 행동: [무엇을 하는지]. 환경: [장소, 조명, 분위기]. 무드: [형용사]. 스타일: 사실적, 영화적 조명, 먼지 낀 공기, muted red/blue 팔레트. 16:9.
  • 전환 수정자 추가: “드론이 맴돌며 탐색한다”, “벽의 문양이 빛난다”, “연막탄이 터진다” 등
  • 모든 프롬프트에 공통된 스타일 토큰을 포함: “영화적 조명, 먼지 낀 분위기, muted 팔레트, 느린 카메라 무브먼트”

5. 영상 전환과 UI 연결 계획하기

디자인 단계에서 병행해 생각해야 할 점:

사용자가 분기 A를 클릭했을 때, 어떤 텍스트가 표시되고, 어떤 영상을 재생하며, 어떤 버튼이 나타날지.

각 노드마다 “비디오 에셋, 자막 텍스트, 두 개의 버튼 라벨, 다음 노드”를 명시한 작은 테이블로 작성하세요.

자연어로도 스크립트화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노드 A에서 버튼 A를 선택하면, 영상을 A1로 전환하고 자막을 …로 변경하며 버튼을 Restart로 설정한다.”

이것이 Trickle의 vibe coding 텍스트가 됩니다.

Screenshot 2025-09-26 at 14.43.52.png

파트 II: 모델과 시각적 일관성

이 내러티브를 지원하기 위해 세 가지 모델을 함께 사용합니다:

  • Nano Banana: 빠른 이미지 생성 및 스타일 탐색. 환경, 색감, 소품을 탐색하거나 배경 이미지를 제작할 때 사용.
  • Seedream 4.0: 고급 텍스트→이미지 및 멀티모달 이미지 생성. 키프레임, 캐릭터 비주얼, 정교한 이미지 제작에 적합.
  • Seedance 1.0 Pro: 애니메이션(텍스트→영상, 이미지→영상). 멀티샷 내러티브, 캐릭터 일관성, 프롬프트 준수를 위해 설계됨.

이미지에서 영상을 생성하면 Seedance는 시각적 기반을 유지한 채 동작을 추가하여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파트 III: Trickle + Magic Canvas에서 구현하기

1. 영상 에셋 생성하기

  • Trickle 인터페이스에서 Generate Video 선택
  • 오프닝 노드용 템플릿 프롬프트 입력 후 생성
  • 이어서 A, B, A1, A2, B1, B2 생성
  • 생성된 영상은 모두 전역 Library에 저장 → “overall, A, B …”처럼 간단히 리네임
  • 조명, 구도, 크기 일관성을 확인하고 필요시 재생성

2. Magic Canvas 페이지 생성하기

  • Trickle에서 새로운 Canvas 프로젝트 생성
  • vibe coding 예시:

    “16:9 비율을 유지하는 전체 폭 비디오 플레이어 배치. 초기 영상은 Library의 overall. 경계선이나 그림자 없음. 하단에 자막 텍스트, 그 아래에 버튼 두 개를 나란히 배치.”

3. 인터랙션 연결하기

각 버튼에 onClick / onTap 동작을 설정합니다.

예:

“버튼 Go to Signal이 클릭되면, 영상을 Library.A로 전환하고, 자막을 ‘그녀는 미지의 유적에 들어간다…’로 바꾸며 버튼을 Touch the Device / Turn Away로 변경한다.”

A1, A2, B1, B2 노드에서는 Restart 버튼을 Opening으로 되돌리도록 연결합니다.

4. 프리로딩 추가하기

overall, A, B, A1, A2, B1, B2 모든 영상을 페이지 로딩 시 백그라운드에서 프리로딩해 전환 시 끊김을 방지합니다.

5. 테스트

  • 모든 분기를 클릭해 올바른 영상/자막/버튼 전환 확인
  • 모바일에서도 버튼 크기와 레이아웃 확인
  • 에러 발생 시 로딩 플레이스홀더 제공

파트 IV: 분기 A → A1 예시

  1. Opening에서 사용자가 Go to Signal 클릭 →

    • 영상이 A로 전환

    • 자막이 “유적에 들어가는…”으로 변경

    • 버튼이 Touch the Device / Turn Away로 바뀜

  2. 사용자가 Touch the Device 클릭 →

    • 영상이 A1로 전환

    • 자막이 “그녀가 장치를 만지자 기억이 홍수처럼 몰려온다…”로 변경

    • Restart 버튼만 표시되고 Opening으로 연결

  3. 사용자가 Restart 클릭 →

    • 영상이 overall로 돌아감

    • 초기 자막과 버튼 복원

파트 V: 이 접근법이 효과적인 이유

  • 분기를 얕게 유지해 혼란과 일관성 붕괴 방지
  • 짧은 무성 시네마틱 영상으로 복잡성을 줄이고 무드/구도에 집중
  • 프리로딩으로 빠른 전환과 매끄러운 체험 보장
  • vibe coding의 자연어 연결은 직관적이며 수정이 쉬움
  • Nano Banana / Seedream / Seedance의 조합으로 정적인 이미지부터 동영상까지 일관되게 제작 가능
  • Seedance의 멀티샷 대응으로 분기 간 시각적 연결 유지

프롬프트 템플릿 제안 (추상화)

기본 장면 템플릿

[길이] 초 무성 시네마틱 장면. 주인공: [누구]. 행동: [무엇을 하는지]. 환경: [장소, 조명, 분위기]. 무드: [형용사]. 스타일: 사실적, 영화적 조명, 먼지 낀 분위기, muted red/blue 팔레트. 16:9.

분기 장면 템플릿

[길이] 초의 연속 장면. 주인공: [행동을 이어가거나 반응]. 동작 디테일 추가: [드론 등장/빛 깜박임/모래폭풍]. 조명 스타일 동일 유지. 대사와 자막 없음.

모든 프롬프트에는 스타일 토큰(예: “영화적 조명, 먼지 낀 공기, muted 팔레트, 느린 카메라 무브”)을 포함시켜 장면 간 일관성을 확보하세요.

Your words, your appsBuild beautiful web apps
in seconds using natural language.
© 2025 Trickle